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미국의사 되기6

미국의사 되기: NIW 영주권 도전 사례 본 글은 한국에서 의무병으로 복무 후 미국 의사가 되기 위해 도전한 한 아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NIW ( National Interest Waiver ) 영주권 취득 과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복잡한 내용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일반적인 한국 의사의 미국 진출 과정일반적으로 외국의대 졸업자가 미국에서 레지던트 과정을 밟으려면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한국 의사 자격 취득: 한국 보건복지부의 추천서를 받기 위해서는 의사 국가고시를 통과해야 합니다. 해외 의대를 졸업한 경우, 예비시험을 먼저 치러야 본시험 응시 자격을 얻습니다.한국 국가의사고시 합격 ( 한국의사자격증 )후 보건복지부 추천서 신청/ 발급 / ECFMG제출레지던트 매칭 및 비자: ECFMG(미국 의사 자격 심사 기관) .. 2025. 8. 4.
미국 의사가 되기 위한 현실적인 여정 –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미국에서 의사가 되기를 희망하는 외국인 유학생에게는 수많은 도전이 존재합니다. 특히 영주권이 없는 한국 학생의 경우, 미국 의과대학원 진학 자체가 거의 불가능에 가까워 대안으로 카리브해 의과대학원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저희 아들은 **카리브해 그레나다에 위치한 St. George’s University 의과대학(SGU)**을 선택했습니다. 이 과정을 모두 마친 후 미국에서 의사로 일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 여정을 나누고자 합니다.1. 의대 입학부터 시작된 현실SGU에서의 의과대학원 과정은 총 4~5년 ( 추가1년 : USMLE 시험 준비 )2년은 이론 교육(Pre-clinical), 그 후 2년은 미국 병원에서 실습(Clinical Rotation)을 합니다. 이 과정을 무사히 마쳤다고 .. 2025. 8. 1.
미국 의사로 진출 가능한 해외 의과대학 : 카리브해 의과대학 1. 핵심 요약카리브해 의과대학은 미국 외 국가 출신 학생들이 미국에서 의사가 되는 주요 경로입니다.전체 미국 의사의 약 25%는 카리브해 의과대학 졸업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이들 졸업생은 **미국 병원에서의 레지던시 과정(전공의 수련)**을 통해 미국 의사 면허를 취득합니다. 2. 대표적인 카리브해 의과대학 순위 및 통계 순위 학 교 명 Step 1 합격률 레지던시 매칭률 특 징1St. George’s University (Grenada)84%94%미국 내 면허 의사 최다 배출2Ross University (Barbados)86.8%98%약 9,930명의 미국 의사 배출3AUC (Sint Maarten)84%95%미국 병원과 폭넓은 연계4Saba Univ. (네덜란드령 카리브).. 2025. 7. 25.
미국 의사가 되는 경로 (St. George’s University, Grenada 포함) 1. 미국 의과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제한대부분의 미국 의과대학은 **영주권(그린카드)**이 없는 외국인 학생의 입학을 허용하지 않습니다.따라서 외국인 유학생이 미국에서 의사가 되기 위해서는 다른 경로를 선택해야 합니다.2. 대안: 카리브해 의과대학 진학대학에서 생물학 등 관련 전공을 마친 학생은:카리브해 지역 의과대학(예: St. George’s University, Grenada)에서 2년간 Pre-clinical 과정 수료이후 미국 병원에서 2년간 Clinical Rotation(임상 실습)마지막으로 **미국의사면허시험(USMLE Step 1, 2, 3)**에 합격하여미국 병원의 **레지던시(전공의 수련 과정)**에 진입하면 미국에서 의사로 활동 가능3. 성공의 핵심: 영어 실력과 학업 성적미국 의사.. 2025. 7. 25.
길고 긴 여정 - 미국 의사 되기 미국에서는 의과대학(Medical School)이 대부분 대학원 과정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생물학(Biology)과 같은 전공으로 학부 과정을 마친 후 의대에 진학하게 됩니다. 하지만 미국의 의과대학은 영주권이 없는 외국인 유학생을 거의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점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미국에서 의사가 되고자 하는 많은 외국인 학생들은 북미와 남미 사이에 위치한 카리브해 지역의 의과대학에 진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들 학교는 외국인 학생을 주 대상으로 설립되어 있으며, **2년간의 이론 과정(Pre-clinical)**을 카리브해에서 수료한 뒤, **미국 내 병원에서 2년간의 임상 실습(Clinical rotation)**을 진행하게 됩니다.4년의 의학 과정을 마친 후에는 미국.. 2025. 7. 22.
영주권 없이 한국인이 미국 의사가 되기 어려운 이유 "영주권 없이 한국인이 미국 의사가 되기 어려운 이유" 에 대하여 정리하여 말씀드리고, 나의 아들이 어려운 이유를 극복하고 미국 의사가 되는 과정을 앞으로 글을 통하여 상세히 공유하고자 합니다. 1. 비자 문제✅ 미국 의사는 "수련(Resident)" 을 받아야 자격을 갖출 수 있어요.수련 병원에 합격하려면 비자나 영주권 등 합법적인 체류 자격이 있어야 합니다.✅ 대부분의 병원은 비자 스폰서를 꺼려요.H-1B나 J-1 비자는 스폰서가 필요하고, 절차가 복잡하며 행정 비용이 큽니다.병원들은 “어차피 다른 좋은 지원자도 많은데 굳이 비자까지 신경 쓰고 싶지 않다”고 생각하죠.✅ 비자별 특징:J-1 비자: 일반적으로 병원이 더 쉽게 받아주는 편이지만, 수련 후 반드시 한국으로 2년간 돌아가야 하는 조건이 있습.. 2025. 7. 7.
반응형